플래핑 에어포일의 최대 추력에 관한 연구A study for maximum thrust of a flapping airfoil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60
  • Download : 0
비선형 함수 근사에 적합한 모델인 DACE를 사용하여 플래핑 에어포일의 최대 추력에 괸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해 함수호출에 DACE를 사용하였다. 즉, 에어포일이 플래핑 모션을 하는 동안의 비정상 유동 해석은 DACE를 사용하여 대체한다. 에어포일의 플래핑 운동은 플런징운동과 피칭운동의 조합으로 표현되며, 이는 플런징 진폭, 피칭 진폭, 주파수 등의 변수로 구성된다. 플래핑 에어포일의 추력 발생은 이러한 변수의 변화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이에 따라 에어 포일이 플래핑 운동을 할 때, 여러 변수에 따른 평균 추력 계수의 변화를 살펴 보고, 최대 평균 추력과 최대 평균 추력을 갖는 변수의 값을 설계를 통해 찾고, 이를 통해 찾은 최대 추력값에서 어떠한 공력 특성을 지니는 지 함께 살펴 보았다. 에어포일이 플런징 운동을 할 때는 추력만 발생했지만, 피칭운동이 더해져 플래핑 운동을 할 때는 추력과 함께 양력이 동시에 발생하였다.
Advisors
권장혁researcherKwon, Jang- Hyu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항공우주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8
Identifier
302025/325007  / 020063349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항공우주공학전공, 2008. 8., [ vi, 56 p. ]

Keywords

flapping; pitching; plunging; maximum thrust; DACE; 플래핑; 피칭; 플런징; 최대 추력; DACE; flapping; pitching; plunging; maximum thrust; DACE; 플래핑; 피칭; 플런징; 최대 추력; DACE

URI
http://hdl.handle.net/10203/27037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30202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A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