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능동형 로터를 이용한 마이크로 혼합기의 혼합성능 향상Enhancement of mixing efficiency of a micro mixer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46
  • Download : 0
본 논문에서는 챔버 내부에 마이크로 로터를 첨가한 마이크로 혼합기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동의 초기 주입에너지를 이용하는 수동형 혼합기의 원리와 움직이는 요소를 이용하는 능동형 혼합기의 원리를 이용한 마이크로 혼합기를 제작하여 성능을 판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러 설계조건을 고려해 마이크로 혼합기를 설계하였다. 마이크로 혼합기를 제작할 재료로 내화학성이 있는 감광유리 선정했다. 화학 플랜트에서 생산하는 화학제품은 강산과 같이 일반적인 구조물이 견딜 수 없는 물질들이 많다. 하지만 감광유리는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러한 물질들에 의해 형태가 변하거나 녹지 않는다. 그리고 감광유리를 사용하면 높은 종횡비의 구조물을 비교적 쉽게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기의 형태는 원형 챔버 내부에, 유동이 가진 에너지에 의해 회전하는 마이크로 로터를 삽입하는 형태이다. 로터는 원형 챔버에 접하는 4갈래의 유동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된다. 로터가 회전을 하게 되면 혼합 챔버에 강한 교란이 발생하여 혼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로터의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으로 서로 다른 유체가 번갈아 가면서 유입이 되기 때문에 그 공간도 작은 혼합 챔버가 된다 이러한 설계조건에 따라 마이크로 혼합기를 제작하기 전에 제작공정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챔버, 기둥, 로터 등의 가공한계 및 로터의 삽입방법에 대해 선행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보면 기둥은 지름이 800 μm이상이 되어야 기계적 강도가 보장된다는 것을 알았고, 로터는 지름 0.9 mm, 1.9 mm, 3.9 mm 모두 제작 가능하며 챔버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로터가 장착된 마이크로 혼합기를 재설계하고 제작을 하였다. 감광유리를 이용해 제작했으며, 총 7층으로 이루어졌다. 제작된 혼합기의 형상은 유입 채널이 가로 600 µm, 세로 700 µm, 기둥 지름이 2 mm, 로터가 장착된 챔버 지름 8 mm, 혼함 챔버 지름 4.8 mm, 수축 챔버 지름 1.2 mm이었다. 제작된 혼합기는 알루미늄 홀더에 장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검은 염료와 물을 혼합한 후 CCD카메라를 통해 혼합영상을 획득하여 이미지 처리하는 방법과 경쟁반응을 이용하는 방법을 가지고 혼합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혼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촬영하였다.
Advisors
권세진researcherKwon, Se-Ji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항공우주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7
Identifier
265068/325007  / 02005311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항공우주공학전공, 2007.2, [ ix, 68 p. ]

Keywords

수동형 혼합기; 능동형 혼합기; 랩온어칩; 마이크로 혼합기; 마이크로 플랜트; 혼합기; mixer; passive mixer; active mixer; lab on a chip; micro mixer; micro plant

URI
http://hdl.handle.net/10203/27000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65068&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A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