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전자를 통한 세대의 형성과 진화Formation and evolution of generations through mem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32
  • Download : 0
본 연구는 보편적 다원주의적 관점에서 세대형성을 설명한다. 진화론적 관점으로 세대의 형성 과정을 논의했던 시도가 처음은 아니지만, 세대의 진화 수준에서 논의된 내용은 집단적 수준에 한정 될 수밖에 없으며, 유전자 수준에서 세대형성을 설명하는 것에 비해 구체성이 부족하다. 세대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유전자에 해당하는 세대 형성의 최소 단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대특성-밈 복합체(Meme Complex)를 가정하였으며, 밈 복합체의 복제와 확산을 통해 세대 별 세계관이 형성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세대의 대표적인 특성과 잠재되어 있는 특성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며, 잠재되어 있는 세대특성을 통해 조건적 세대효과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엔텔레키(entelechy)라고 부를 수 있다. 이를 통해 만하임의 세대위치가 실제세대가 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순환적 관점에서 세대특성-밈복합체의 진화를 해석하여 2030년의 사회변화를 조망하였다.
Advisors
서용석researcherSeo, Yongseo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8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2018.2,[1책 :]

Keywords

문화유전자▼a밈 복합체▼a리처드 도킨스▼a만하임▼a세대형성▼a진화▼a사회변화; Meme▼aMemeplex▼aRichard Dawkins▼aMannheim▼aGeneration Formation▼aEvolution▼aSocial Change

URI
http://hdl.handle.net/10203/266126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73380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F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