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기간에 따른 위험요인 가격 책정 상이성 연구(An) empirical study on horizon pricing of risk factors in korea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76
  • Download : 0
Kamara et al.(2016)의 연구방법론에 따라, 본 연구는 체계적인 위험에 대한 주가 반응의 상이성을 연구하였다. 투자 Horizon에 따라 Fama-French 위험요인과 모멘텀 위험요인의 가격 책정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을 위해 위험요인 민감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매수/매도하는 검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고, 연구 결과 가치위험(HML)은 중간 Horizon에서 가격이 책정되고, 모멘텀(Momentum)은 12개월과 36, 48개월에서 유의미한 위험 프리미엄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장위험(MKT)은 중기에서 가격이 책정되나 음의 수익률이 나와 ‘저베타 이상현상’을 의심해 볼 수 있었고, 기업규모(SMB)는 전 기간에 걸쳐서 영향력이 있으나 MKT와 마찬가지로 방향성이 반대로 분석되었다. 강건성 분석에서도 HML과 UMD가 유의했던 Horizon에 대해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결과는 위험프리미엄을 결정할 때 투자 Horizon이 중요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Advisors
조훈researcherCho, Ho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금융공학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8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프로그램, 2018.2,[iii, 32 p. :]

Keywords

위험요인▼a투자기간▼a위험프리미엄▼a가격책정▼a상이성; factor▼ahorizon▼arisk premia▼apricing▼aheterogeneity

URI
http://hdl.handle.net/10203/265774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42643&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