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joint 민감도 해석 기법을 이용한 헬리콥터 로터의 공력형상 최적설계Aerodynamic shape optimization of helicopter rotor blades using an adjoint method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05
  • Download : 0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압축성 오일러방정식을 사용하여 제자리 비행 및 전진 비행을 하는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에 대한 민감도 기반의 공력 형상 최적 설계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회전좌표계에서 연속 adjoint 민감도 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장점은 유한차분 민감도 해석 기법과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유동장 해석을 위해서는 격자 중심의 유한 체적법을 이용하였으며, 2차 정확도의 Roe FDS를 이용하여 차분하였다. Gauss-Seidel 시간 적분법과 국소시간 전진 기법, 이중 시간 전진 기법이 시간 전진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블레이드의 비정상 운동을 모사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격자 기법과 중첩 격자 기법을 사용하였다. Adjoint 방정식의 공간 차분 및 시간 적분 기법은 Euler 방정식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블레이드의 형상은 Hicks-Henne 형상 함수를 이용하여 수정하였으며, 형상 변화에 따른 계산 격자의 변화를 위해서 spring 상사성을 이용하였다. 최적 설계시의 반복적인 유동 해석 및 민감도 해석의 효율성을 위해서 역역 분할 기법을 이용한 병렬 처리를 수행하였다. 끝단 와류의 정확한 포착을 위해서 끝단 와류를 따른 격자 적응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설계 기법은 고정익 형상 및 회전익 형상에 대해 적용되었다. 고정익 형상에 대한 경우, 2차원 형상 및 3차원 형상에 대해서 항력 최소화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일정한 양력을 유지하면서 항력을 최소화하는 형상을 설계할 수 있는 유용하고 효율적인 방법임을 검증하였다. Design For Six Sigma을 이용한 강건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운영하는 전 영역에서 항력을 최소화하며 항력 발산을 막을 수 있는 날개꼴의 설계에 적용되었다. 회전익 형상에 대해서는 제자리 비행을 하는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에 대해서 요구동력을 최소화하도록 단일점 및 다점 설계를 수행하였다. 전진 비행을 하는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의 공력 설계를 위해서 비정상 유동해석 및 정상 adjoint 해석을 이용한 준-비정상 공력 형상 최적설계를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계 기법이 일정한 추력을 유지하면서 요구동력을 효과적으로 감소한 형상을 설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율적인 방법임을 검증하였다.
Advisors
권오준researcherKwon, Oh-Jo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항공우주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6
Identifier
254250/325007  / 020005225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항공우주공학전공, 2006.2, [ xi, 155 p. ]

Keywords

강건 설계; 전진 비행; 제자리 비행;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민감도; 어드조인트; 공력 최적설계; 비정상 공력 설계; unsteady optimization; robust design; forward flight; hover; helicopter rotor blades; sensitivity; aerodynamic shape optimization; adjoint

URI
http://hdl.handle.net/10203/26340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54250&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A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