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등학교 관리자의 창의융합교육 역량 도출 및 교육요구도 분석A study on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f School Administrators for Creative STEAM Educ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76
  • Download : 0
이 연구는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학교 관리자의 창의융합교육 역량 모델을 도출하고, 역량요소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학교 관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차에 걸친 수정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창의융합교육 학교 관리자 역량 모델은 ‘창의융합교육 학교 경영 및 리더십, 창의융합교육 장학 및 교육 지원, 창의융합교육 환경 조성 및 관리’로 총 3개의 역량군으로 구성되었으며, 8개의 역량, 36개의 역량요소로 구성되었다. 최종 도출된 역량 모델의 역량군, 역량, 역량요소의 타당도 평균과 내용타당도 값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역량요소에 대한 학교 관리자 246명의 창의융합교육 학교 관리자 역량요소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교육요구도(Borich, 1980)는 ‘창의융합교육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에 대한 지식’역량요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융합교육 관련 교사연수 및 활동에 대한 지식’, ‘지역사회 협력 및 관리 기술’, ‘환경 및 자원관리에 대한 지식’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급별로 학교 관리자가 인식하고 있는 역량요소의 교육요구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blisher
한국기술교육학회
Issue Date
2018
Language
Korean
Keywords

Creative STEAM Education; School Administrator; Competencies; Educational Needs; 창의융합교육; 학교 관리자; 역량; 교육요구도

Citation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18, no.1, pp.83 - 102

ISSN
1598-0839
URI
http://hdl.handle.net/10203/247005
Appears in Collection
RIMS Journal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