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장면에서 교사의 게임 인식 유형과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game recognition types and the acceptance of student game use in school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44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도영임ko
dc.contributor.author김지연ko
dc.date.accessioned2018-04-24T04:27:37Z-
dc.date.available2018-04-24T04:27:37Z-
dc.date.created2018-04-03-
dc.date.created2018-04-03-
dc.date.issued2017-06-
dc.identifier.citation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17, no.3, pp.71 - 82-
dc.identifier.issn1598-4540-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4124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교사들의 게임 인식 유형과 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수행되었다.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와 상담교사 및 전문 상담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네가지 게임 인식 유형은 성별, 연령, 게임 경험 유무, 게임에 대한 태도, 게임에 대한 대응, 게임이 학생의학업에 미치는 영향 인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게임 인식 유형에 따라 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를 비교한 결과 ‘관리/감독의 필요성’, ‘적극 활용의사’, ‘관심과 확인’, ‘부적응 대체활동으로 인정’ 에서 유형간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수용 효능감’에서는 모든 유형이 낮은 수준을 보였다. 끝으로 학교 현장에서 학생게임 이용에 대한 교사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어떠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논의하였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게임학회-
dc.subjectteacher’s game recognition type(교사 게임 인식 유형)-
dc.subjectacceptance of student game use (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
dc.subjectschool context (학교 장면)-
dc.subject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다변량분산분석)-
dc.title학교 장면에서 교사의 게임 인식 유형과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의 관계-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game recognition types and the acceptance of student game use in school-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17-
dc.citation.issue3-
dc.citation.beginningpage71-
dc.citation.endingpage82-
dc.citation.publicationname한국게임학회 논문지-
dc.identifier.kciidART002231765-
dc.contributor.nonIdAuthor김지연-
dc.description.isOpenAccessN-
Appears in Collec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