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자 경험의 요소 도출 및 효과 검증Identifying the underlying factors of smartphone user experience and validating its effect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15
  • Download : 0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발견하고, 해당 요소들이 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사용자 경험 요소의 도출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 온라인 후기 분석, 앱 경험 샘플링의 3 가지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도출된 사용자 경험 요소들을 후기수용모델(PAM)의 선행요인으로 하여 사용자 경험 기반의 스마트폰 수용 모델(UXSAM, UX based Smartphone Acceptance Model)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온라인 대규모 설문으로 1665 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SPSS와 PLS(Partial Least Square)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을 한 결과, 안정성(0.271), 상대적우월성(0.245), 심미성(0.209), 태스크적합성(0.183), 즐거움(0.170)의 5가지 요소를 포함시킨 UXSAM이 최소의 유의미한 사용자 경험 요소로 최대의 만족도를 설명하는 가장 우수한 모델임을 확인하였다. 이 때, 괄호 안의 숫자는 해당 사용자 경험 요소가 만족도에 대해 갖는 설명력을 의미하며, UXSAM 모델에서는 모든 경로가 유의수준 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시장의 포화로 인해 사용자 경험의 극대화를 통한 지속사용 유도와 브랜드 신뢰도 구축이 강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시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측정 지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나아가, 제안된 사용자 경험 기반의 스마트폰 수용 모델(UXSAM)과 이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방법론은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스마트 TV를 비롯한 각종 가전 및 IT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와 지속사용의도 파악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dvisors
이문용researcherYi, Mun Yo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지식서비스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4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서비스공학과, 2014.2 ,[vi, 118 p. :]

Keywords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 기술수용모형; 기대-충족 모형;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Smartphone; User Experienc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Satisfaction; Continuance Intention

URI
http://hdl.handle.net/10203/221973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5751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I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