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review effectiveness depending on review display온라인 리뷰 표현 방식에 따른 리뷰의 효과성: 성별과 제품 유형의 조절효과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36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Ahn, Jae-Hyeon-
dc.contributor.advisor안재현-
dc.contributor.authorKim, Bo Kyeong-
dc.contributor.author김보경-
dc.date.accessioned2017-03-17T19:31:16Z-
dc.date.available2017-03-17T19:31:1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56797&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20682-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2016.2 ,[iv, 53 p.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리뷰를 정리하여 보여주는 방식이 현재의 리뷰 방식인 줄글 방식과 비교하여 과연 보다 효과적인지를 알아보았다. 고객 리뷰를 각 제품의 속성에 따라 분류한 뒤, 리뷰들이 해당 속성에 대하여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파악하여 각 속성에 대한 긍정 의견과 부정 의견의 비율을 표시한 방식을 정리된 리뷰로서 제공하였다. 실험 결과는 정리된 리뷰 표현 방식이 잠재적인 온라인 쇼핑 고객들에게 현재의 리뷰 방식보다 더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리된 리뷰 표현 방식의 효과성은 성별과 제품 유형에 따라서 조절되었으며 남성과 경험재에서 정리된 리뷰 방식의 효과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리뷰의 효과성은 리뷰의 유용성, 이해하기 쉬운 정도, 본인의 의사결정에 대해 자신하는 정도, 일관된 의사결정으로 살펴보았다.-
dc.languageeng-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정보과다-
dc.subject리뷰의 효과성-
dc.subject인간 의사 결정-
dc.subject제품 유형-
dc.subject성별-
dc.subjectReview Display-
dc.subjectInformation Overload-
dc.subjectReview Efectivenss-
dc.subjectHuman Decision Making-
dc.subjectProduct Type-
dc.subjectGender-
dc.subject리뷰 표현 방식-
dc.titleOnline review effectiveness depending on review display-
dc.title.alternative온라인 리뷰 표현 방식에 따른 리뷰의 효과성: 성별과 제품 유형의 조절효과-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공학부,-
dc.contributor.localauthorAhn, Jae-Hyeon-
dc.contributor.localauthor안재현-
Appears in Collection
M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