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링 토폴로지를 갖는 SDH망의 구축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09
  • Download : 296
SDH로 대표되는 광전송기술은 대용량, 높은 신뢰성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간단한 형태의 망토폴로지를 갖게 되므로, 링크나 노드가 손상되었을 경우에 생기는 손실은 엄청나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링크나 노드가 훼손되더라도 그대로 망을 운용할 수 있는 생존도(Survivability)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다. 생존도를 고려한 광전송장비는, 링토폴로지(Ring Topology)를 지원하는 ADM (Add drop Multiplexing)과 메쉬토폴로지(Mesh Topology)를 지원하는 DCS(Digital Cross-connecting System)로 대별되며, 이들 각각을 이용하여 구성한 단일링, 또는 단일메쉬망 등의 기본망구조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축적되어 있다. 한편, 실제로 망구성에서 고려되는 링/링 토폴로지나 링/메쉬 토폴로지 등의 기본망의 결합구조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링이 다수 연접한 링/링 토폴로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관로망과 수요가 주어져 있을 때, 이를 수용하는 다중링의 토폴로지와 수량을 결정하는 모형을 제시하며, 이에 대한 분석과 사례연구를 시행한다.
Publisher
한국경영과학회
Issue Date
1997-01
Language
KOR
Citation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 pp.365 - 368

URI
http://hdl.handle.net/10203/22061
Appears in Collection
KSIM-Conference Papers(학술회의논문)
Files in This Item
1997-121.pdf(221.5 kB)Download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