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게임 내 가상경관 분류 기준 확립 및 대표 유형 산출Virtual Landscape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Representative Spatial Types in Digital Gam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88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익환ko
dc.contributor.author이인정ko
dc.contributor.author이지현ko
dc.date.accessioned2017-02-02T02:10:49Z-
dc.date.available2017-02-02T02:10:49Z-
dc.date.created2017-01-10-
dc.date.created2017-01-10-
dc.date.issued2016-12-
dc.identifier.citation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16, no.6, pp.19 - 28-
dc.identifier.issn1598-4540-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20366-
dc.description.abstract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게임 속 공간이 다채로운 모습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이를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은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지만 디지털 게임 공간을 설계하는 방법론을 구축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게임 속 공간들을 유형별로 분류 및 정의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디지털 게임 공간을 분류하는 다섯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해당 기준들은 각각 ‘서술형태, 협업 정도, 상호교환 정도, 공간 동작 차원, 공간 형태’ 이다. 이후 본 연구는 확보된 기준들을 바탕으로 20년간 가장 주목받은 게임들 분류하여 그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대표 공간 유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해당 분류 방법론은 디지털 게임 공간 설계 및 구현 인원들에게 디지털 게임 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함에 건축 및 조경의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각종 설계 방법론의 차등적 적용이 가능하게끔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게임학회-
dc.title디지털 게임 내 가상경관 분류 기준 확립 및 대표 유형 산출-
dc.title.alternativeVirtual Landscape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Representative Spatial Types in Digital Games-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16-
dc.citation.issue6-
dc.citation.beginningpage19-
dc.citation.endingpage28-
dc.citation.publicationname한국게임학회 논문지-
dc.identifier.kciidART002175255-
dc.contributor.localauthor이지현-
dc.contributor.nonIdAuthor이인정-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subject.keywordAuthorVirtual landscape(가상 경관)-
dc.subject.keywordAuthorGame design(게임 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Design methodology(디자인 방법론)-
dc.subject.keywordAuthorDigital game classification(디지털 게임 분류)-
Appears in Collection
GCT-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