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EME (soft control human error evaluation mEthod): a human reliability analysis method for evaluation of soft control human error in NPP advanced MCRs원전 신형주제어실 내 소프트제어 인적 오류평가를 위한 인간신뢰도 분석 방법 개발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65
  • Download : 0
인적 오류가 기인한 과거 수 십 년간의 사고 기록을 살펴온 가운데,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큰 규모의 시스템이 무엇으로 인해 잘못 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현재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잠재적으로 위험한 시스템에 대하여 형식적이고 기술적으로 그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을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라고 부르며, 오늘날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는 기계적 실패, 그리고 환경적 위험을 평가할 뿐만 아니라 인적 오류에 의한 위험도 또한 평가하고 있다. 특히, 스리마일 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에 인적 실수가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중요 요인으로 알려져 왔으며, 그 이후 인적 오류 확률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간 신뢰도 분석기법이 개발되었다. 또한 이 때 개발된 대부분의 인간 신뢰도 분석기법은 아날로그 형태의 주제어실에서의 인간 신뢰도 분석을 위한 기법으로 적용되었다. 하지만, 컴퓨터화 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인간 기기 연계의 도입으로 원자력 발전소 주제어실의 운전환경은 변화되어 왔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과 컴퓨터 기술을 기반으로 한 주제어실을 신형 주제어실이라고 하며, 신형 주제어실은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 전산화 절차서, 소프트 제어기 라는 컴퓨터 기술을 도입하였다. 신형 주제어실의 많은 특징 중 소프트제어는 특히 중요한데, 이는 신형 주제어실에서의 모든 수행 직무는 소프트 제어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원자력 발전소 신형 주제어실 운전원은 소프트제어기를 사용하여 운전화면을 선택, 제어기기를 클릭한 후 마지막으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주제어실과 신형 주제어실의 가장 큰 차이점이기도 하다. 하드와이어드 기존 제어 방식과 컴퓨터 기반의 소프트 제어 방식의 차이로 인해 기존의 인간 신뢰도 분석방법을 신형주제어실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즉, 신형 주제어실에의 인적 오류 확률 값은 기존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며, 새로운 인간 신뢰도 분석체계가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에 개발된 많은 인간 신뢰도 분석기법 (예를 들어,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THERP), Human Error Assessment and Reduction Technique (HEART), Success Likelihood Index Method-ology (SLIM), A Technique for Human Event Analysis (ATHEANA), Cognitive Reliability and Error Analysis Method (CREAM), Simplified Plant Analysis Risk Human Reliability Assessment (SPAR-H)) 들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인간 신뢰도 기법들은 기존의 주제어실에서의 인간 신뢰도 분석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또한 디지털 시스템이 도입된 주제어실에서의 인적 수행도를 어떻게 평가하여야 하는지의 보충 설명 또한 제공해주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형 주제어실어서 발생 가능한 새로운 인적 오류 유형 (예를 들어, 화면선택직무, 화면 내에서의 기기선택직무)을 고려하고, 이러한 인적 오류 유형을 설명할 수 있는 인간 신뢰도 분석 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제어 직무 분석과 널리 수용된 인적 오류 분류에 관한 문헌 검토를 기반으로 소프트제어 수행 오류 평가를 위한 인간 신뢰도 분석 체계를 제안한다. 먼저 소프트 제어 직무분석과 문헌 검토를 통하여 신형 주제어실 내 인간 신뢰도 분석 체계에 필요한 요소를 확인하였다. 요소의 대표적인 항목은 2차 직무, 직무 수행을 위한 순차적인 인적 행위, 하위 직무 사이의 종속성 등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항목을 기반으로 좀 더 심층적으로 소프트제어를 고려한 인간 신뢰도 분석 체계가 제안된다. 또한, 현재의 인간 신뢰도 분석 데이터 베이스는 기존 주제이실에서의 운전만 다루고 있는 실정이고, 이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간 기기 연계에 대해서는 설명될 수 없기 때문에 신형 주제어실을 모사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인적 오류 확률과 인적 오류 회복 실패 확률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Advisors
Seong, Poong Hyunresearcher성풍현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및양자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eng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원자력및양자공학과, 2015.2 ,[ix, 128 p. :]

Keywords

human reliability analysis; soft control; advanced main control room; execution human error and error recovery probability; performance shaping factor; 인간 신뢰도 분석; 소프트 제어; 신형 주제어실; 수행 인적 오류 확률; 수행 인적 오류 회복 확률; 수행특성인자

URI
http://hdl.handle.net/10203/20623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15651&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N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