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D study of high heat flux vertical upward gas turbulent flow고열속 수직 상향 기체난류의 CFD 접근 연구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24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Lee, Jeong Ik-
dc.contributor.advisor이정익-
dc.contributor.authorNietiadi, Yohanes-
dc.contributor.authorNietiadi Yohan-
dc.date.accessioned2016-04-28T19:30:34Z-
dc.date.available2016-04-28T19:30:34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28911&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0620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원자력및양자공학과, 2015.8 ,[x, 72 :]-
dc.description.abstract가스고속로는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은 4세대 노형 중 하나이다. 가스고속로의 가장 큰 문제는 냉각재 상실사고 (LOCA) 시 충분한 붕괴열 제거계통을 확보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LOCA 시 가스고속로가 강제대류 난류모델에서 예측되는 열전달 양상에 벗어난 약화난류 (DTHT) 영역의 유동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Hot spot의 피복재 온도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DTHT 영역과 DTHT 영역에서의 유동을 신뢰성 있게 모사할 수 있는 난류모델의 이해가 필요하다. Combined DTHT 영역의 난류 열 전달을 확인하기 위해 ν2-f 난류모델을 이용한 numerical 해석과 사용된 난류모델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Numerical 해석 결과, ν2-f 난류모델은 약화된 난류 열 전달을 정성적으로 예측하였지만 부력의 효과를 과대평가하기 때문에, 난류 모델과 실험적 연구의 변경이 필요하다.-
dc.languageeng-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가스고속로-
dc.subject4세대 원전-
dc.subject냉각재 상실사고-
dc.subject약화난류 열전달-
dc.subject혼합 대류-
dc.subjectGas-cooled Fast Reactor-
dc.subjectGeneration IV-
dc.subjectLOCA-
dc.subjectDeteriorated Turbulent Heat Transfer-
dc.subjectMixed Convection-
dc.titleCFD study of high heat flux vertical upward gas turbulent flow-
dc.title.alternative고열속 수직 상향 기체난류의 CFD 접근 연구-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및양자공학과,-
dc.contributor.localauthorLee, Jeong Ik-
dc.contributor.localauthor이정익-
Appears in Collection
N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