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철석(Fe3O4) 나노 결정의 Verwey transition에 대한 핵 자기공명 연구NMR study of the verwey transition in magnetite nano-crystal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45
  • Download : 0
Magnetite는 과거 자석으로 사용되던 이후로 1960년대 Verwey transition이 관측 되었으며 최근 spin valve 후보 물질로서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나노크기의 입자 혹은 박막이 필요하다. 하지만 보통의 관측장비로 Verwey transition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비슷한 크기의 장비가 필요하다. 이는 샘플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관측이 어려워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NMR은 미시적인 샘플에 대하여 거시적인 관측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된다. 또한 NMR을 통한다면 비파괴적으로 샘플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상태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Verwey transition은 전이 온도 전후로 하여 구조적 변형이 일어나며 전자들의 호핑이 막혀 B site 철 원자는 각각 자신의 전자들을 묶게 된다. 따라서 NMR 신호는 여러개로 갈라지게 되며, 이는 실험과정에서 입자사이의 거리, 산화 상태, Stoichiometry 등등의 영향으로 넓어질 수 있다. 본 실험에서의 결과는 Stoichiometry가 3:4를 이루지 못하여 단결정 물질에서의 peak 보다는 넓어진 결과를 볼 수 있었으나, transition temperature로 볼 수 있는 위치에서 FWHM이 갑자기 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는 Verwey transition이 일어났음은 명백히 알 수 있는 결과이다.
Advisors
이순칠researcherLee, Soon Chil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물리학과, 2015.2 ,[27p :]

Keywords

자철석; 버웨이 변이; 변이 온도; NMR; Verwey; magnetite; stoichiometry

URI
http://hdl.handle.net/10203/20614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08313&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PH-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