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ies of command and control structure between ROK and US artillery organization한미 포병조직 지휘통제체계 비교연구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63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Moon, Il Chul-
dc.contributor.advisor문일철-
dc.contributor.authorKang, Ah Ram-
dc.contributor.author강아람-
dc.date.accessioned2016-04-22T19:30:11Z-
dc.date.available2016-04-22T19:30:1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28591&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06054-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및시스템공학과, 2015.8 ,[ⅴ, 31 p. :]-
dc.description.abstract한국군 국방개혁의 주요 핵심정책은 병력은 줄이고 무기 및 장비의 성능은 개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군의 야전포병의 전력은 한국군보다 우세하고, 한반도에서 이러한 포병전력에 의한 대량살상의 위협도 잔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의 포병운용 방안과 조직구조를 찾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LDEF 형식론을 이용하여 대화력전 상황에 대한 에이전트 기반 모델을 구성하고 전투실험을 하였다. 전투실험은 1) 대대단위 사격과 포대단위 사격의 효과도, 2) 한미 포병조직의 지휘통제 체계 효과도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조직구조의 특징을 비교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사격부대를 분할하되 운용화포의 수를 증가시키고, 통합된 지휘체계에서 더 효과적인 성능을 보였다. 이는 한국군 포병이 현 상황에 맞춰서 대안의 포병운용 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차후 한미연합사단 및 지휘체계, 포병운용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dc.languageeng-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Meta-network-
dc.subjectCounterfire operation-
dc.subjectCommand and control-
dc.subjectDefense M&S-
dc.subject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
dc.subject메타 네트워크-
dc.subject대화력전-
dc.subject지휘통제 체계-
dc.subject국방 M&S-
dc.subjectAgent-based simulation-
dc.titleComparative studies of command and control structure between ROK and US artillery organization-
dc.title.alternative한미 포병조직 지휘통제체계 비교연구-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산업및시스템공학과,-
dc.contributor.localauthorMoon, Il Chul-
dc.contributor.localauthor문일철-
Appears in Collection
I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