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Type of Transmedia Content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73
  • Download : 0
본고는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주목받고 있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관련 논의를 확대하기 위해 그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64편의 사례를 3가지 범주(시기별, 사용자 경험별, 목적별)에 근거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시기별로 보면 OSMU 콘텐츠와 공존 유무에 따라 통합형과 독립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 기준으로는 컨트롤과 콘텍스트를 축으로 소극적/가상 영역, 소극적/실재 영역, 적극적/가상 영역, 적극적/실재 영역 등 4개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목적별 유형은 기획 초기부터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제작 의도가 있었던 경우를 네이티브 트랜스미디어, 의도가 없었으나 점차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 발전한 경우를 프랜차이즈 트랜스미디어, 그리고 홍보와 마케팅 수단으로 제작한 경우를 마케팅 트랜스미디어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향후 국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개발 및 사용자 연구에 활발히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blisher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Issue Date
2015-08
Language
Korean
Citation

글로벌문화콘텐츠, no.20, pp.23 - 49

ISSN
2005-6176
URI
http://hdl.handle.net/10203/203526
Appears in Collec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