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전기및전자공학부)" by Subject 연동

Showing results 1 to 16 of 16

1
Collaborative DEVS model development methodology for Domain-Specific Systems Simulation = 도메인 특화된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위한 협동적 모델 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link

Sung, Chang-Ho; 성창호;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2
DEVSimHLA 을 이용한 실시간 연동 시뮬레이터의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interoperative simulator using DEVSimHLAlink

김강산; Kim, Kang-Sa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4

3
FPGA 기반 센서 노드와 NS3 연동을 통한다층 무선 센서 네트워크 모의 환경 설계 및 구현

박대진; 김탁곤,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25, no.4, pp.43 - 52, 2016-12

4
HLA-based Co-simulation in mixed-signal system-on-chip design = 혼합 신호 시스템 온칩 설계를 위한 HLA 기반의 코시뮬레이션link

Seok, Moon-Gi; 석문기;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5
HLA/RTI 환경에서 대리자를 이용한 페더레이션의 연동 = Interoperation of federations using surrogates for HLA/RTIlink

유민욱; Yoo, Min-Wook;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9

6
HLA/RTI를 이용한 flight simulator(V)-wargame(C) 연동 프레임워크 = Interoperation framework between flight simulator(V) and wargame(C) using HLA/RTIlink

김숙영; Kim, Sook-Yo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7
HLA/RTI를 이용한 flight simulator(V)-wargame(C) 연동 프레임워크 = Interoperation framework between flight simulator(V) and wargame(C) using HLA/RTIlink

김숙영; Kim, Sook-Yo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8
Improvements of transmission reliability in wireless multihop and interworking networks = 무선 다중홉망 및 연동망에서의 전송 신뢰성 개선link

Jung, Sung-Kwan; 정성관;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7

9
Methodology for battle experiment via interoperation with mission level model and engagement level model = 임무급 모델과 교전급 모델의 연동을 통한 전투실험 방법론link

Kim, Jeong-Hoon; 김정훈;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2

10
Seamless vertical handover schemes based on pre-registration and pre-authentication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 이종 무선망에서 사전등록과 사전인증에 기반한 끊김없는 수직 핸드오버 방안link

Choi, Hyun-Ho; 최현호;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7

11
WLAN-UMTS 연동 시뮬레이터 구현과 성능 평가 = Implementation of a WLAN-UMTS interworking simulator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link

김미순; Kim, Mi-So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5

12
워 게임과 통신 효과 시뮬레이터 간 연동 시뮬레이션 방법론 = Interoperation simulation methodology with war game and communication effects simulatorlink

김덕수; Kim, Deok-Su;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13
워 게임과 통신 효과 시뮬레이터 간 연동 시뮬레이션 방법론 = Interoperation simulation methodology with war game and communication effects simulatorlink

김덕수; Kim, Deok-Su;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14
재사용 가능한 모델들의 플러그인 방식을 이용한 연동 가능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와 환경 = Framework and environment for interoperable simulation by plug-in of reusable modelslink

배장원; Bae, Jang-W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9

15
체계 효과도 분석을 위한 공학/교전 모델 연동 시뮬레이션 기술 연구

홍정희; 김탁곤,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19, no.4, pp.319 - 326, 2010-12

16
프로토콜 평가를 위한 DEVSim++와 NS2의 연동 환경 = DEVSim++ - NS2 interoperating environment for protocol evaluationlink

김회준; Kim, Hoi-J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2

Discover

Type

. next

Open Access

Date issued

. next

Subject

. next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