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및 주거 행태에 따른 가정용 전력수요 예측 모형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forecast model based on household and dwelling characteristic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27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재규-
dc.contributor.advisorLee, Jae-Kyu-
dc.contributor.author오혁진-
dc.contributor.authorOh, Hyeok-Jin-
dc.date.accessioned2015-04-23T07:07:47Z-
dc.date.available2015-04-23T07:07:4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69799&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19716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2014.2, [ iv, 40 p. ]-
dc.description.abstract가정용 전력 수요는 기술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인구통계적, 행태적 요소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가구, 주거, 환경적 요소가 가정용 전력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모형을 수립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노령화, 가구원 수, 소득, 도시화, 주거 면적, 기온과 같은 요소들이 가정용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변수들이 미래에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지를 추정한 후, 설계된 모형을 사용하여 미래 한국의 가정용 전력 사용량을 예측해보았다. 결과적으로 미래의 가정용 전력사용량은 현재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전력수요 감소 효과를 가진 노령화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은 모두 전력사용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의 전력 수요 예측에서는 이 같은 요소들을 반영하지 않고 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장기전력수급정책 수립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가정용 전력수요-
dc.subjectdwelling-
dc.subjecthousehold-
dc.subjectdemand forecast-
dc.subject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dc.subject주거-
dc.subject수요 예측-
dc.subject가구-
dc.title가구 및 주거 행태에 따른 가정용 전력수요 예측 모형-
dc.title.alternative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forecast model based on household and dwelling characteristics-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569799/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
dc.identifier.uid020123412-
dc.contributor.localauthor이재규-
dc.contributor.localauthorLee, Jae-Kyu-
Appears in Collection
M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