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나노튜브 포화흡수체 거울을 이용한 1.2 GHz 반복률 다이오드 펌핑 Yb:KYW 모드잠금 펨토초레이저 개발1.2 GHz repetition rate, diode-pumped femtosecond Yb:KYW laser mode-locked by a carbon nanotube saturable absorber mirror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30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원-
dc.contributor.advisorKim, Jung-Won-
dc.contributor.author양희원-
dc.contributor.authorYang, Hee-Won-
dc.date.accessioned2013-09-12T02:37:28Z-
dc.date.available2013-09-12T02:37:2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14842&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181761-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2013.2, [ iv, 47 p. ]-
dc.description.abstract고반복률 레이저는 주파수빗, 고속 광 샘플링, 광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다중광자현미경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다이오프 펌프된 고체 레이저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통해 고반복률 레이저를 만들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반도체 포화흡수체는 수동모드잠금 레이저에 사용되는데 비교적 비싼 가격과 고반복률에서의 열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탄소나노튜브 포화흡수체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포화흡수체를 사용하여 168 fs의 펄스폭과 1.2 GHz 반복률을 갖는 고체 레이저를 개발하였다. 이는 탄소나노튜브 포화흡수체를 이용한 펨토초 모드잠금 벌크레이저 중 가장 높은 반복률을 갖는다. 추후에 수 GHz 영역의 레이저를 개발할 예정이며, 잡음 특성을 측정하고, 광 파라메트릭 공진기를 개발할 예정이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GHz 반복률-
dc.subject펨토초-
dc.subjectYb:KYW-
dc.subject모드잠금 레이저-
dc.subjectGHz repetition rate-
dc.subjectfemtosecond-
dc.subjectYb:KYW-
dc.subjectmode-locked laser-
dc.subjectcarbon nanotube saturable absorber-
dc.subject탄소나노튜브 포화흡수체-
dc.title탄소나노튜브 포화흡수체 거울을 이용한 1.2 GHz 반복률 다이오드 펌핑 Yb:KYW 모드잠금 펨토초레이저 개발-
dc.title.alternative1.2 GHz repetition rate, diode-pumped femtosecond Yb:KYW laser mode-locked by a carbon nanotube saturable absorber mirror-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514842/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
dc.identifier.uid020113348-
dc.contributor.localauthor김정원-
dc.contributor.localauthorKim, Jung-Won-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