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단기 스왑 베이시스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long and the short term swap basi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65
  • Download : 0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외환시장과 금리시장을 연구하고 최근 금융위기와 그 이후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파생상품인 통화스왑(Currency Swap)과 외환스왑(FX Swap)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금리시장과 외환시장에 어떠한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고 시장 참여자들의 행태를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연구를 위한 데이터 수집기간은 2005년 9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이며 2007년 8월을 금융위기 시점으로 간주해 구간을 구분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를 위해 GARCH(1,1) 모델을 이용하여 변동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전 구간에 걸친 장 단기 스왑 베이시스와 장 단기 시장간의 괴리도는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구간별 분석 결과 이는 금융위기시의 충격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장 단기 스왑베이시스의 결정요인을 VECM 모형과 그랜져 인과관계분석, 분산분해 분석을 이용하여 수행한 결과 장기 스왑베이시스가 단기 스왑베이시스를 선행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장기 스왑베이시스의 결정요인으로 한국은행들의 CDS 프리미엄, 미국 은행들의 CDS 프리미엄, 미국 TED 스프레드가 정(+)의 관계를 갖고 있었고, 한국 TED 스프레드는 재정거래의 영향으로 예상과 달리 음(-)의 스프레드를 갖고 있었다. 단기 스왑베이시스는 미국은행들의 CDS 프리미엄과 음(-)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Advisors
조훈researcherCho, Hoon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3
Identifier
516913/325007  / 02011373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전공, 2013.2, [ iv, 47 p. ]

Keywords

스왑 베이시스; CIP; 통화스왑; Swap Basis; CIP; VECM; CRS; FX Swap; FX 스왑

URI
http://hdl.handle.net/10203/18143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16913&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