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병의 최신 뇌영상 연구Recent Neuroimaging Study in Schizophrenia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69
  • Download : 0
정신분열병은 병태생리적, 신경해부학적 측면뿐 아니라 발병, 질병 원인에 대한 가설 등 다양하지만 불완전한 방법으로 설명되어 왔다. 예를 들어 정신분열병의 병태생리적 모형 측면에서 보면 과거 도파민 가설로부터 글루타민, GABA, 세로토닌, 콜린 체계 등 다양한 신경전달체계 이상으로 설명되어 왔다. 그 외에 다양한 가설에 대해서 Keshavan 등9)은 아래와 같이 소개하였다. 첫째, 신경해부학적 가설로는 뇌의 구조적, 기능적 기능 이상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신분열병은 운동영역과 같이 한 가지 감각을 처리하는 곳이 아닌 이마앞 이랑(전전두회, prefrontal gyrus), 위쪽 관자이랑(상측두회, superior temporal gyrus), 아래 마루피질(두정피질, inferior parietal cortex)과 같이 이종 연합피질(het-eromodal association cortex)의 이상, 정상적인 좌우 반구의 비대칭의 소실이나 역전이나 뇌량(corpus callosum)의 이상 등 좌우 반구의 비정상적 연결성, 피질-시상-소뇌 연결회로의 기능적 이상, 비정상적 기저핵-시상-피질 회로 등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둘째, 발병과 관련된 가설은 주로 발병 시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신경발달 모형(neu-rodevelopmental model)에서는 신경의 이동 혹은 증식의 초기과정 이상, 후기 신경발달과정인 청소년기의 신경 연접의 가지치기 이상 등에 의해 정신분열병의 발병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신경퇴행 모형(neurodegenerative model)에서는 신경의 흥분독성(neuronal excitotoxicity) 혹은 신경화학적 민감화에 따른 발병 후 신경 황폐(deterioration) 등으로 정신분열병의 병리를 설명하고 있다. 셋째, 정신분열병의 원인적 모형에서는 유전적 요소,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발현 혹은 후성적(epigenitic) 요인, 다양한 환경적 요인 등이 고려되고 있다. 위에 소개된 다양한 측면의 가설들은 정신분열병의 원인, 현상, 경과 등의 일부분을 설명할 수 있으며, 이 가설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서로 연관이 있기도 하다. 따라서 정신분열병의 뇌영상 연구 결과 또한 이러한 다양한 가설의 측면에서 의문과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정신분열병의 뇌 구조 이상은 유전적, 환경적, 신경발달적, 신경퇴행적 모형의 관점에서 연구가 설계되고 해석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정신분열병의 뇌영상 연구에서 구조적, 기능적 이상의 의미에 대해 두 가지 중요한 질문을 해 볼 수 있다. 첫째, 첫 발병 시에도 구조적, 기능적 이상이 발견되는가? 있다면 질병 진행에 따른 변화와 구별되는 병리인가? 둘째, 발병 전에도 이러한 이상이 발견되는가? 있다면 발병하지 않은 집단과 구별되는 병리인가? 본 논문은 이러한 질문에 대해 뇌 용적,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확산텐서영상 등을 이용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뇌영상 자료끼리 혹은 전기생리적 자료나 유전자 연구 등과 뇌영상 자료를 통합한 최신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Publisher
대한생물정신의학회
Issue Date
2011-05
Language
Korean
Citation

생물정신의학, v.18, no.2, pp.55 - 60

ISSN
1225-8709
URI
http://hdl.handle.net/10203/96391
Appears in Collection
MS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