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oS에 기반한 multi-subprocess task 선택 기법에 관한 연구QoS based multi-subprocess selection techniqu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93
  • Download : 0
인터넷과 협업기술(Collaboration Technology)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상거래는 기업내부의 가치 사슬을 통합하는 통합기업의 차원에서 더 나아가 핵심역량과 Outsourcing에 기반한 가상기업 또는 확장 기업의 차원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상기업의 기술적 기반이 정보시스템의 조직간 상호운용 기술이다. 사전에 조직간 상호운용에 필요한 정보들을 명확하게 명세하는 정적인 상호운용은 급변하는 비즈니스환경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적응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동적인 상호운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Multi-Subprocess Task에 기반한 동적인 상호운용 방식은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는 것이다. 여러개의 Subprocess들을 대표하는 Multi-Subprocess은 설계시점에 실제로 실행하게 될 Subprocess를 확정하지 않고, 실행시점에 실제로 선택되어서 실행될 Subprocess가 만족시켜야 하는 조건만 명세한다. 실행될 Subprocess가 선택되는 것은 실행하는 시점에서 명세된 조건과 실행의 context정보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런데 Multi-Subprocess를 선택할 때 적용되는 조건들이 주로 선택시점에 국지적(local)으로 관련되기 때문에 전체 프로세스와 대역적(global)으로 관련되는 조건들도 함께 적용할 필요가 있다. Workflow QoS 값들을 사용함으로써 국지적 조건들뿐만 아니라 전체 프로세스차원의 대역적 조건들도 함께 고려하여서 좀 더 합리적으로 Multi-Subprocess를 선택할 수 있다. Multi-Subprocess를 선택할 때, QoS값 등의 대역적 정보들과 국지적 정보들을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Multi-Subprocess를 명세할 때에 대역적 조건들도 같이 명세할 수 있는 방법들이 필요하다. 그리고 프로세스 전체에 해당하는 대역적인 QoS 속성과 명세들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Process전체의 QoS값을 명세하는 방법도 필요하다. Subprocess를 QoS 값등의 대역적 조건들과 견주어 보기 위해서는 대응되는 조건들을 Subprocess의 Service Inteface의 명세에 포함되어야 한다. XML을 사용해서 이러한 대역적 조건들과 국지적 조건들을 명세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Multi-Subprocess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하는 조건을 syntactical, semantical, utility로 나누어 고찰한다. Syntactical Condition과 semantical Condition은 Absolute Evaluation에 의해 조건의 만족여부가 절대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와는 반대로 utility Condition은 relative match라고 한다. 조건의 만족여부가 절대적으로 결정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명세된 정보와 조건들을 사용해서 실제로 Multi-Subprocess를 선택할 때 국지적 조건들과 대역적 조건을 함께 고려하는 방법이 있어야만 선택된 Multi-Subprocess가 국지적 조건들과 대역적 조건들을 아울러 만족시킬 수가 있다. Multi-Subprocess를 선택하는 방법에는 국지적인 정보를 이용한 verdict match를 먼저 사용하는 Bottom-up방식과 대역적인 정보를 이용한 utility match를 먼저 사용하는 Top-down방식이 있다. QoS의 Objectives가 Optimality Condition이면 Bottom-up을 사용한다. verdict(Syntactical) match를 사용해서 Candidate Multi-subprocess들을 선택한 다음에 relative(utility) match를 사용해서 Optimality condition을 만족하는 최종 후보자를 선택한다. QoS의 Objectives가 Satisfiability Condition이면 Top-down을 사용한다. Satisfiability threshold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Candidate들을 제거한 다음에 Satisfiability Conditi
Advisors
Han, Dong-Sooresearcher한동수researcher
Description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 전자상거래,
Publisher
한국정보통신대학교
Issue Date
2003
Identifier
392224/225023 / 020014021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 전자상거래, 2003, [ viii, 59 p. ]

Keywords

워크플로우; 멀티서브프로세스; 동적 상호운용; QoS; Workflow; MST; Multi-Subprocess Task; Dynamic Interoperation

URI
http://hdl.handle.net/10203/54359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392224&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School of Management-Theses_Master(경영학부 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