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광유지 광섬유에서의 음향광학 모드 결합을 이용한 가변 편광의존 손실 소자Tunable polarization-dependent loss element based on acousto-optic mode coupling in polarization-maintaining fiber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53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영-
dc.contributor.advisorShin, Sang-Yung-
dc.contributor.author정형기-
dc.contributor.authorJung, Hyung-Gi-
dc.date.accessioned2011-12-14-
dc.date.available2011-12-14-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49380&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35311-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전공, 2005.8, [ vi, 87 p. ]-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편광유지 광섬유에서의 음향 광학 모드 결합을 이용하여 광통신 C 밴드 대역용 광섬유 가변 편광의존 손실(Polarization-dependent loss, 이하 PDL) 소자를 구현하였다. 제작된 가변 PDL 소자는 첫째 큰 값의 편광의존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고, 둘째, 편광의존 손실을 빠르게 만들 수 있으며, 셋째 편광누화가 작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가변 PDL 소자를 제작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첫째, 편광유지 광섬유에서의 음향광학 모드 결합을 이용하였으며, 둘째, 편광유지 광섬유를 회전시켜 두 개의 복굴절 축 중 하나의 축과 탄성파의 진동 방향을 일치시켰으며, 셋째 이러한 정렬 후 PANDA 와 타원형 응력(Elliptical stress) 편광유지 광섬유의 음향광학 모드 결합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다섯째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가변 편광의존 손실 소자를 구현 하였다. PANDA 편광유지 광섬유의 경우 인접하는 동일한 편광을 갖는 모드 결합의 중심 파장간의 거리는 40 nm로서 광통신 C 밴드 대역보다 넓다. 그러나 그와 수직한 편광의 중심파장과의 거리는 광통신 C 밴드 대역 보다는 작고 탄성파의 주파수가 변하면서 그 중심 파장간의 거리가 더욱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서로 수직한 두 개의 탄성파의 발생은 음향광학 필터로서의 성능을 제한 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PANDA 편광유지 광섬유보다는 타원형 응력 편광유지 광섬유가 가변 PDL 소자에 더 적합하다. 타원형 응력 편광유지 광섬유 PDL 소자는 탄성파의 진동 방향을 빠른 축과 정렬하면, 광통신 C 밴드 대역 내의 특정한 파장에서 17 dB의 큰 PDL 값을 전기적인 신호의 주파수와 전압만을 조절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PDL의 해상도(Resolution)은 PDL의 크기가 0.1 dB 이하일 때 0. 01 dB이고 3 dB 이하일 경우 0.1 dB이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그 자체적으로 PDL 에뮬레이터나 편광 모드 분산(Polarization mode dispersion, 이하 PMD) 에뮬레이터와 직렬로 연결하여 PDL/PMD 에뮬레이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두 편광성분에 의한 중심 파장간의 차가 37 nm로서 광통신 C 밴드 대역보다 넓고 탄성파의 주파수가 변하더라도 그 차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기적인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 시킴으로써 편광유지 광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EDFA의 편광 선택적 이득 평탄기(Gain equalizer)로도 응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 이러한 가변 편광의존 손실 소자는 파장 선택형 광섬유 편광기로도 응용될 수 있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mode coupling-
dc.subjectpolarization-maintaining fiber-
dc.subjectoptical fiber communication-
dc.subjectacousto-optic-
dc.subjecttunable-
dc.subject광섬유 통신-
dc.subject편광유지 광섬유-
dc.subject모드 결합-
dc.subject음향광학-
dc.subject가변-
dc.subject편광의존 손실-
dc.subjectPolarization-dependent loss-
dc.title편광유지 광섬유에서의 음향광학 모드 결합을 이용한 가변 편광의존 손실 소자-
dc.title.alternativeTunable polarization-dependent loss element based on acousto-optic mode coupling in polarization-maintaining fibers-
dc.typeThesis(Ph.D)-
dc.identifier.CNRN249380/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전공, -
dc.identifier.uid020005296-
dc.contributor.localauthor신상영-
dc.contributor.localauthorShin, Sang-Yung-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