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상 동맥경화의 진단을 위한 카테터 기반 OCT/FLIM 시스템 개발Development of catheter based OCT/FLIM system for diagnosis of atherosclerosi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45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왕열-
dc.contributor.advisorOh, Wang-Yuhl-
dc.contributor.author강우재-
dc.date.accessioned2021-05-12T19:32:15Z-
dc.date.available2021-05-12T19:32:1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88326&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83763-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과, 2017.2,[v, 46 p. :]-
dc.description.abstract심혈관 질환은 인간에게 있어 오랫동안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해왔다. 심혈관 질환 중 대표적으로는 동맥경화가 있는데, 그 원인 중 하나인 취약형 죽상경화반 을 발달 초기 단계에서 정확하게 관측하는 이미징 기술의 필요성은 항상 요구되어왔다. 이와 관련하여 혈관 내 광 간섭 단층 촬영 (OCT) 기술과 근적외선 형광 이미징 기법 (NIRF), 혈관 내 초음파 (IVUS) 기술 등이 발달되었지만 이들은 화학적인 정보가 부족하여 병변의 발달 단계를 구체화 하지 못하는 점, 혈과 내 조영제 주입으로 인한 안전문제, 이미징 해상도의 문제 등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카테터를 기반으로 한 혈관 내 광 간섭 단층 촬영 (OCT) 기술과 형광 수명 측정 이미징 (FLIM)을 결합한 이미징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OCT시스템을 이용해서 혈관의 미세구조를 알 수 있으며 multichannel FLIM 을 통해 Collagen, Elastin, Lipid의 함유량을 알 수 있어 화학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이 시스템은 OCT A-line rate 120 kHz, FLIM data acquisition rate 30 kHz를 가지며 현존하는 OCT/FLIM 통합시스템 중 가장 빠른 이미징 속도를 가진다. 시스템의 성능은 벤치 탑 (bench top) 스캐닝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후 동맥경화반 유도 토끼 모델을 통해 취약형 죽상경화반이 존재하는 관상동맥을 이미징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검측하였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광 간섭 단층 촬영▼a다 채널 형광 수명 측정 이미징▼a카테터 기반▼a죽상 동맥경화▼a취약형 죽상경화반-
dc.subjectOCT▼aFLIM▼aMultichannel FILM-
dc.subjectCatheter Based▼aAtherosclerosis▼aVulnerable Plaque-
dc.title죽상 동맥경화의 진단을 위한 카테터 기반 OCT/FLIM 시스템 개발-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catheter based OCT/FLIM system for diagnosis of atherosclerosis-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ang, Woo-Jae-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