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지자체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분석 - 물 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44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재호ko
dc.contributor.author전의찬ko
dc.contributor.author김하나ko
dc.date.accessioned2021-03-09T02:50:08Z-
dc.date.available2021-03-09T02:50:08Z-
dc.date.created2021-02-18-
dc.date.created2021-02-18-
dc.date.created2021-02-18-
dc.date.created2021-02-18-
dc.date.issued2020-08-
dc.identifier.citationGRI연구논총, v.22, no.3, pp.261 - 282-
dc.identifier.issn2005-8349-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8143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별로 수립·시행하고 있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의 물 관리 분야의 주요 과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적 특성(서울특별시: 대도시, 강원도: 산간지역, 충청북도: 내륙지역, 전라남도: 해안지역, 제주도: 섬지역)에 따른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차이점을 비교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Net-miner를 활용해 단어 등장 빈도 분석, 연결중심성 및 매개 중심성을 포함한 중심성 분석, 커뮤니티 분석 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5개의 지자체에서 시설, 사업, 수질, 하천 등의 키워드가 등장 빈도와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개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물 관리 분야의 공통된 주요 과업은 “수자원 보호”로 나타나 지역적 특성과 관계없이 지하수 및 수생태계 등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특별시의빗물 이용, 전라남도의 둠벙 및 습지 생태 위해성 관리, 강원도의 댐 및 저수지 활용, 제주도의 해수 침투 모니터링, 충청북도의 중수 재활용을 통한 수자원 관리 등 지역마다 특수한(site-specific) 현안을 반영하여 세부계획이 수립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수립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의 주요 과업을 분석하고 지역에 따른 세부시행계획의 차이점을 제시하였으며, 광역지자체뿐만 아니라 기초지자체를 포함하여 수립되고 있는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검토 및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하였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경기개발연구원-
dc.title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지자체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분석 - 물 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22-
dc.citation.issue3-
dc.citation.beginningpage261-
dc.citation.endingpage282-
dc.citation.publicationnameGRI연구논총-
dc.identifier.kciidART002622459-
dc.contributor.localauthor김하나-
dc.contributor.nonIdAuthor유재호-
dc.contributor.nonIdAuthor전의찬-
dc.description.isOpenAccessN-
Appears in Collection
HSS-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