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성과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사례연구A Case Study o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15
  • Download : 0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정부출연 연구기관 중 다년간 기관평가 결과가 우수한 A연구원을 선정하여 성과관리시스템(Performance Management System)을 도입하여 운영해가면서 이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사례연구는 목표(Goal), 계획(Plan), 운영(Action)의 관찰관점을 설정하고 성과관리시스템이 이들 관찰관점을 중심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A 연구원의 성과관리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1)정성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는 2005년 이전(성과관리시스템 1:PMS 1)과 (2)성과중심평가가 정착된 2005년에서 2008년(성과관리시스템 2 :PMS 2), 그리고 (3)자율적 성과기반평가 체계를 도입하는 2009년 이후(성과관리시스템 3:PMS 3)의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PMS 1 시스템은 정부시책에 부응하는 출연연구원으로 성과구현에 관해서는 피동적이었고(Goal) 성과평가시스템은 정성적 태도중심으로 평가를 하고 평가항목 설정에 관한 협의나 토의는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며(Plan) 성과평가는 서열을 정하기 위해 정성적 태도평가가 중심이어서 성과정보의 환류는 기대하기 어려웠다(Action). PMS 2 시스템은 기관의 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개인 및 팀의 업무 정렬(Goal)이 목표이었고, 연구부서 성과 지표의 단순화와 협업 강조와 지원부서의 가치창출을 위한 목표 설정(Plan) 그리고 모니터링 및 피드백 활동 강화(Action)이었다. 성과시스템 재구축을 통하여 논문이 양적 및 질적으로 발전하였으며 특허, 기술거래의 양적인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적극적인 연구성과를 홍보하여 연구원의 존재감이 향상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PMS 3 시스템은 PMS 2의 지나치게 경직된 정량지표가 강조(Plan)되고, 모니터링에 있어 중요한 소통 및 피드백이 부족(Action)하고 무엇보다도 부서장의 리더 십 발휘기능이 부족(Goal)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독립평가와 선택적평가 도입(Plan), 부서장 권한강화와 피드백 강화(Action)가 도입되었다. PMS 3의 성과는 PMS 2의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실행 도구의 역할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개선과 아울러 구성원 만족도를 개선하고 있다.
Publisher
대한회계학회
Issue Date
2012-06
Language
Korean
Citation

회계연구, v.17, no.2, pp.189 - 207

ISSN
1229-3342
URI
http://hdl.handle.net/10203/250885
Appears in Collection
MG-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