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algae-mediated simultaneous production of biofuel and treatment of thiocyanate-containing wastewater: process development and associated microbial dynamics study바이오연료 생산과 황화시안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조류 기반 공정 기술 개발 및 관련 미생물 군집 거동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618
  • Download : 0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물질 중 하나인 황화시안은 주로 플라스틱 생산, 금속 제련, 코크스 공정을 비롯한 철강산업으로부터 발생하게 된다. 황화시안은 분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우 강한 독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에 노출되더라도 척추 동물을 비롯한 대부분의 생물유기체들은 큰 손상을 입게 될 수 있다.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중추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망상이나 환각, 경련, 또는 정신병에 이르기까지 치명적인 질병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계로 방류되기 전에 반드시 처리되어야만 한다. 황화시안을 처리하는 방법은 크게 물리화학적 공법과 생물학적 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리화학적 처리기술의 경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지만, 경제성과 복잡한 처리 공정, 그리고 처리규모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황화시안 폐수가 발생하는 대부분의 폐수처리 시설에서는 활성 슬러지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공법을 도입하여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복잡한 공정, 생물 저해 현상에 따른 불안정한 처리 효율, 그리고 2차 오염물질의 발생 등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점들이 드러나게 되면서,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미세조류는 다양한 형태의 질소원을 에너지 효율적으로 성장 대사에 이용하면서 동시에 단위 면적당 높은 지질 생산성 및 이산화탄소 고정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생물학적 질소 처리 공법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기반 황화시안폐수 처리와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여보고자, 활성 슬러지에 내생하는 다양한 미생물 군집을 이용해 보기로 하였다. 이것을 증명하기 위해 황화시안 인공 폐수를 제조하였고, 하수 종말 처리장의 호기 처리조에서 슬러지를 채취하여 4리터 광학 생물반응기에 접종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약 80시간의 침체기를 거쳐 황화시안이 산화되기 시작하였고, 약 124 시간 이후에는 활성슬러지의 내생 군집에 의해 황화시안이 완전히 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에, 예상대로 암모늄 질소가 증가하였고, 암모늄 질소는 다시 질산염과 아질산염의 형태로 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 슬러지 내의 내생 미세조류 군집의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황화시안이 산화된 이후 빛을 조사하였고, 이후 점차 모든 형태의 질소원이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자수율과 엽록소 분석을 통해 미세조류의 광합성능을 측정해본 결과, 대부분의 질소가 미세조류의 성장 대사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황화시안 처리 후, 미세조류의 지질 생산을 증대시키기 위해 각기 다른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였고, 그 결과 질량비 2.5%의 이산화탄소를 공급시켜 주었을 때, 가장 높은 지방산을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문헌과 비교해 보았을 때, 미세조류와 박테리아의 조합이 새롭고 효율적인 공정으로써 발전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때, 활성 슬러지 내의 박테리아와 미세조류 군집의 변화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황화시안이 처리되는 과정에서는 티오바실루스가 주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고, 미세조류의 경우 마이크로악티넘이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었다. 개체 수 변화를 고려해 보았을 때, 서로 다른 두 군집의 생물학적인 공생은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고, 오히려 기존의 질산화균이나 탈질균을 이용하는 것보다 미세조류 군집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렇게 황화시안을 처리하고 미세조류 바이오매스를 확보한 후, 휘발성지방산과 효모 추출액을 추가로 주입하여 공정적으로 지질의 생산성을 극대화시켜보고자 하였다...
Advisors
Han, Jong Inresearcher한종인researcherYang, Ji Wonresearcher양지원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환경에너지공학학제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eng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환경에너지공학학제전공, 2015.2 ,[xiv, 170 p :]

Keywords

Thiocyanate; microalgae; activated sludge; biodiesel; pyrosequencing; cokes wastewater; 황화시안; 미세조류; 활성슬러지; 바이오디젤; 파이로시퀀싱; 코크스 폐수

URI
http://hdl.handle.net/10203/20652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1575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IMEP-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