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cal nonlinearities in metallic nano structures금속 나노 구조의 비선형 광학 특성 연구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13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Lee, Yong Hee-
dc.contributor.advisor이용희-
dc.contributor.authorSim, Hongchul-
dc.contributor.author심홍철-
dc.date.accessioned2016-04-22T19:31:38Z-
dc.date.available2016-04-22T19:31:3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15569&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06133-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물리학과, 2015.2 ,[ix, 69p :]-
dc.description.abstract반도체 나노 기술의 발달로 빛을 파장 크기의 작은 공간 내에 높은 밀도로 가둘 수 있는 극미세 공진기들이 개발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비선형 광학 현상, 광집적회로 소자, 단일광자원 등의 다양한 연구에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반도체 및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공진기들은 회절 한계에 부딪혀 파장 이하의 크기에서는 빛을 제어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다. 최근에는 금속 표면에서 존재하는 표면 플라즈몬을 이용해 회절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유전체 공진기보다 훨씬 작은 공간에 더욱 높은 밀도로 빛을 가둘 수 있는 다양한 금속 공진기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금속 고유의 흡수 성질 때문에, 높은 밀도의 빛에 의한 열이 발생하고 구조가 손상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특히 빛의 세기가 세질수록 효율이 높아지는 비선형 광학 실험에서 이러한 문제가 더욱 두드러진다. 수많은 나노 금속 공진기를 배열 형태로 만들고 넓은 영역에 여기광을 입사함으로써 열 문제를 다소 피할 수 있지만, 입사광의 세기가 면적에 반비례하여 약해지면서 비선형 광학 현상의 효율이 급격히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 공진기 배열과 입사광의 결합효율이 입사광의 면적과 관계가 있다는 점을 조사하여, 규칙적인 공진기 배열의 주기와 비슷한 파장에서 입사광 면적을 크게 하면서도 비선형 2차 조화파 신호의 세기가 줄어들지 않고 강하게 유지되는 현상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열 문제를 최소화 하면서도 비선형 현상의 효율을 강화하는 최적의 여기광 입사 조건을 밝혀 냈다. 게다가 전기를 흘릴 수 있는 금속의 특성 상, 약간의 구조 변경을 통해 외부에서 전기장을 걸어 주어 2차 조화파 신호의 세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플라즈모닉 나노-빗 구조를 구현하였다. 대면적 구조에서 입사광의 결합을 최대화 하는 동시에, 배열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금속 공진기 또한 빛을 가장 작은 공간에 가둘 수 있도록 3차원적으로 설계 되었다. 금속 박막에 형성된 팽이모양의 구멍은 5 nm 이하의 작은 금속 틈을 가지고 있어, 그 사이에 매우 강한 빛이 모이게 된다. 팽이모양의 공진기는 금속 박막 구조의 높은 열전도율을 비롯하여 공진모드의 전기장이 금속보다는 공기 중에 더 강하게 분포하는 특징으로 인해 열 문제도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하지만, 발달된 나노 구조 제작 기술에도 불구하고 10 nm 이하의 크기를 갖는 구조는 기존의 Ga 이온 빔 집속 장비로는 제작이 매우 힘들다. 이에 집속 이온 빔 장비에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근접 식각 기술을 접목시켜 5 nm 이하의 매우 작은 공진기 제작에 성공하였다. 공진기 중앙의 금속 틈 사이의 최소 선폭에 따라 2차 조화파 신호의 세기가 매우 급격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실험과 계산을 통해 검증하였다. 특히 3차원적으로 설계된 구조는 공진 모드의 전기장 분포를 점에 가깝게 모을 수 있다. 점에 가까운 공진 모드의 분포는 음극선 발광 실험을 통해 직접적으로 분석되어 사용된 전자현미경의 분해능인 20 nm X 20 nm 보다 작은 영역에 모여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dc.languageeng-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nonlinear plasmonics-
dc.subjectmetallic cavity-
dc.subjectsecond harmonic generation-
dc.subjectfield enhancement-
dc.subject비선형 플라즈모닉스-
dc.subject금속 공진기-
dc.subject2차 조화파 발생-
dc.subject광 증폭-
dc.titleOptical nonlinearities in metallic nano structures-
dc.title.alternative금속 나노 구조의 비선형 광학 특성 연구-
dc.typeThesis(Ph.D)-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dc.contributor.localauthorLee, Yong Hee-
dc.contributor.localauthor이용희-
Appears in Collection
PH-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