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셀에 고정되는 보조날개를 이용한 틸트로터 성능 및 훨플러터 안정성 향상 연구A study on enhancement of tiltrotor performance and whirl flutter stability using nacelle-fixed auxiliary wing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824
  • Download : 0
틸트로터는 V-22 및 BA609 틸트로터 항공기의 성공적인 개발 및 운용을 통하여, 군용뿐만 아니라 민수용 고속 수직이착륙 항공기로서 큰 경쟁력을 가지는 항공기 형태임이 검증되었다. 산악 및 함상운용 능력과 헬리콥터에 비하여 우수한 최대 비행속도 및 고고도 성능으로 틸트로터 항공기의 효용성은 무인기 분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다. 그 동안 복합재료의 탄성 테일러링을 이용한 블레이드 비틀림각의 수동제어 기법, 형상기업합금을 이용한 블레이드 비틀림분포의 능동제어 기법, 가변직경 틸트로터 개념 등을 이용하여 틸트로터의 성능향상을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의 나셀고정 보조날개 개념은 스마트무인기를 대상으로 고정익모드 체공시간 성능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고안되었으며, 보조날개가 좌/우 기어박스에 부착되어 천이비행 동안 나셀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나셀고정 보조날개의 기본 원리는, 여러 가지 제약조건을 가지는 주날개의 길이 연장 대신 나셀 바깥쪽에 보조날개를 부착하여 유효 날개길이를 늘리고 이를 통해 증가되는 비행체 양항비 효과를 이용하여 체공시간 및 항속거리 향상을 가져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날개가 비행요구마력, 비행체 양항비, 체공시간 및 항속거리 성능인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상세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보조날개 장착으로 인한 중량 증가치는 비행체 총 중량의 1.2% 정도로 매우 낮은 수준인 반면 비행체의 양항비 특성이 대폭 향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보조날개 형상에 대한 최적설계를 통해 추가적인 성능 향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보조날개 부착에 따라 제자리비행 및 천이비행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보조날개에 작용하는 공력하중에 의한 주날개 하중 증가 영향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보조날개가 훨플러터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XV-15 및 스마트무인기의 기본모델과 보조날개 장착모델의 감쇠비를 비교하였으며, 보조날개는 날개 수직 굽힘모드 감쇠비를 크게 증가시켜 훨플러터 발생속도를 늦추는 효과를 가져왔다. 보조날개의 길이, 질량 및 관성이 주날개 감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추가로 스마트무인기 기본모델의 로터, 날개, 나셀의 주요 설계변수가 훨플러터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셀고정 보조날개는 틸트로터의 고정익모드 성능과 훨플러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임을 확인하였다.
Advisors
이인researcherLee, In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항공우주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3
Identifier
513983/325007  / 020075313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항공우주공학전공, 2013.2, [ xii, 131 p. ]

Keywords

나셀고정 보조날개; 틸트로터; 성능; 훨플러터; Nacelle-fixed auxiliary wing; Tiltrotor; Performance; Whirl flutter; Stability; 안정성

URI
http://hdl.handle.net/10203/179616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13983&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A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