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College of Engineering(공과대학)" by Issue Date 

Jump to a point in the index:

Showing results 166001 to 166020 of 201450

166001
Study on $CO_2$ based mixture power cycle for flexible operation of nuclear power plant = 원자력 발전소 부하조절운전을 위한 이산화탄소 기반 혼합 유체 발전시스템 연구link

Baik, Seungjoon; Lee, Jeong Ik;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02
Reentry analysis and experiment of space debris considering dynamical separation process = 동적 분리 과정을 고려한 우주파편의 재진입 분석 및 실험link

Park, Seong-Hyeon; Park, Gisu;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03
Drug screenings in microfluidics with different oxygen tension = 서로 다른 산소 분압이 형성된 미세유체소자 내에서의 항암제 성능 분석link

Nam, Hyeon O; Jeon, Jessie Sung Y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04
Unified spatio-temporal neural networks for contextual action understanding = 맥락적 행동 이해를 위한 시공간 통합 신경망link

Jung, Minju; Shin, Jinwoo;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05
뇌졸중 환자의 개인별 자기공명영상 기반 뇌전도도 모델 생성 및 이를 이용한 자율속도 트레드밀 훈련 시 뇌전도 분석 연구 = EEG Analysis based on subject-specific MRI data during self-paced treadmill training of patients post strokelink

조성현; 박형순;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06
Calibration of the bauschinger effect for springback prediction in sheet metal forming = 판재성형에서의 스프링백현상 예측을 위한 바우싱거효과 보정link

Yu, Kwanghyun; Yoon, Jeong Wha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07
Resolution enhancement of low-resolution skeletal images through reconstructing bone microstructure using topology optimization = 위상최적설계 기반의 골 미세구조 재구성을 통한 저해상도 골격계 영상의 고해상화link

Kim, Jung Jin; Jang, In Gw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08
Machine learning-based proactive caching strategy in the CoMP-enabled small cell network = CoMP 기반의 스몰 셀 네트워크에서의 기계학습을 활용한 능동 캐싱 기법 연구link

Ahn, Junseop; Choi, Jun Kyun; 최준균; Park, Hong Shik;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09
Multi-modal electro-optical systems for healthcare applications =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중모드 전기 광학 시스템link

Lee, Yongsu; Yoo, Hoi-J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10
(The) optimization of flapping wing kinematics using the water-tank experiment and hovering control of a flapping wing micro aerial vehicle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수조 상사 실험 기반 날갯짓 최적화 및 강화학습을 통한 날갯짓 비행체의 제자리 비행 제어link

Kim, Ho-Young; Han, Jae-H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11
Experimental study of oxygen catalytic recombination in a shock tube = 충격파 관을 이용한 산소 촉매 재결합 현상의 실험적 연구link

Kim, Ikhyun; Park, Gisu;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12
Prioritizing test environments for cost-effective software test in continuous integration = 지속적 통합 환경에서 비용효율적인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환경 우선순위 부여 기법link

Kwon, Jung-Hyun; Ko, In-Yo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13
(A) study on hybrid power-aware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에너지 인지형 데이터 센터 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link

Fawaz, Al-Hazemi; Youn, Chan-Hy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14
Development of novel permeable electrode system for bio-electrochemical $CO_2$ conversion = 투과형 전도성 전극을 이용한 생물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link

Han, Seung Yeob; Kang, Seoktae;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15
Research for enhancement schemes of low power wide area (LPWA)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 저전력 광역 사물인터넷 (IoT) 의 성능 개선을 위한 기술 연구link

Lim Jin-Taek; Han, Youngnam;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16
평활화 효과 개선을 통한 DNN 기반 통계 파라메트릭 음성합성기의 음질 향상 방법 = Performance improvement of DNN-based statistical parametric speech synthesis by over-smoothing effect reductionlink

박상준; 한민수;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17
Deep imputation network for missing-value imputation of concurrent continuous missing patterns using relationship among multiple IoT data streams in a smart space = 다중 사물인터넷 데이터 스트림의 관계성을 이용한 연속 누락 패턴 값 대체에 관한 연구link

Lee, Minseok; Hyun, Soonjoo; 현순주; Lee, Younghee;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18
고성능 암모늄 디나이트라마이드 단일추진제를 이용한 마이크로 추력기 = High performance microthruster with ammonium-dinitramide-based monopropellantlink

이도윤; 권세진;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19
압력 및 이산화탄소 희석에 따른 층류 메탄 비예혼합 화염 길이의 변화 = Length of laminar non-premixed methane flames with $CO_2$ dilution under elevated pressureslink

이지섭; 김남일;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66020
Development of time-division multiplexing technique of a Maxwellian-view and holographic display for high resolution and wide field of view holographic near-eye display = 고해상도, 광시야각 홀로그래픽 근안 디스플레이를 위한 맥스웰리안 디스플레이와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분할 다중화 기술 개발link

Lee, Jin Su; Won, Yong Hyub;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