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점 변위를 이용한 응력 회복과 적응적 격자망 세밀화에의 응용Stress recovery using nodal displacements and its application to adaptive mesh refinement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44
  • Download : 0
본 논문은 유한요소해석의 해인 절점 변위를 이용한 응력 회복을 다루고 있으며, 회복된 응력에 의해 오차를 평가하고, 적응적 격자망 세밀화를 수행하였다. 회복 절차는 임의의 절점 주위로 조각을 구성하고 조각의 중앙 절점이 약간 움직였을 때의 변위를 간단한 계산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섭동된 변위와 원래의 변위와의 유한 차분은 절점 미분량 즉 변형률과 응력을 나타낸다. 기존의 방법들은 적분점에서의 응력값을 이용하여 조각의 장 전체를 회복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절점 변위를 이용하고 조각의 중앙 점에서만 회복을 수행하므로 더욱 경제적이고 정확하다. 일반적으로 유한요소해석의 결과는 영역의 분할 오차와 요소의 종류에 의존한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응력 구배가 큰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조밀한 격자망, 그리고 구배 분포가 상대적으로 균일한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거친 격자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적응적 체계는 기존의 격자망에서 얻은 해를 기반으로 새로운 격자망을 생성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h-세밀화 법은 적응적 체계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고 허용된 오차 한계보다 평가된 오차가 큰 영역에 더 조밀한 격자망을 생성시켜 요소의 크기를 줄여나가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세 가지의 공학적인 장 문제에 대해 이차원 삼각형 사각형 모델로 적응적 h-세밀화를 수행하였다. 회복 방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결과를 REP, MLS를 이용해 변위장을 근사하는 방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유한차분을 이용한 절점 응력 회복 값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더욱 정확함을 얻을 수 있었다.
Advisors
이병채researcherLee, Byung-Chai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9
Identifier
308515/325007  / 020073138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2009.2, [ vi, 67 p. ]

Keywords

Stress recovery; Error estimate; Finite difference method; Adaptive mesh refinement; Nodal displacement; 응력 회복; 오차 평가; 유한차분법; 적응적 격자망 세밀화; 절점 변위; Stress recovery; Error estimate; Finite difference method; Adaptive mesh refinement; Nodal displacement; 응력 회복; 오차 평가; 유한차분법; 적응적 격자망 세밀화; 절점 변위

URI
http://hdl.handle.net/10203/4568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30851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