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유 및 자동변속기유 설계에 미치는 윤활 기유의 영향Effects of base oil characteristics in engine oils and automatic transmission fluids desig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70
  • Download : 0
본 논문에서는 수첨 분해 기유를 중심으로 윤활 기유의 특성이 자동차용 윤활유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API 기유 분류를 기준으로 상업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윤활 기유를 선정하여 윤활 기유의 특성 및 단일 첨가제 응답 특성을 평가 하였다. 공인 규격 시험을 통과하고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배합식 조사 및 상업용 성능 첨가제를 여러 가지 기유에 적용하여 윤활 기유가 윤활유의 성능 및 첨가제 선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였다. 또한 윤활 기유가 윤활유의 마찰 마모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첨 분해 기유를 적용한 고성능 자동변속기유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 이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용제 추출 기유, 수첨 개질 기유, 수첨 분해 기유 및 PAO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 수첨 분해 기유와 PAO는 점도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증발 감량이 매우 적었다. 2) 용제 추출 기유, 수첨 개질 기유, 수첨 분해 기유 및 PAO에 대한 단일 첨가제 응답 특성을 평가한 결과, 기유의 특성에 따른 첨가제 응답특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수첨 분해 기유는 첨가제 응답 특성 측면에서 PAO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수첨 분해 기유와 PAO는 점도 특성, 산화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3) 수첨 분해 기유는 용제 추출 기유와 비교하여 점도지수향상제, 분산제 및 산화방지제를 적게 투여하고도 동일한 공인 성능 등급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고온에서 윤활 기유 점도가 높은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4) 동일한 성능 첨가제를 투여할 경우, 수첨 분해 기유를 적용하면 용제 추출 기유 적용 시와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저온 성능 및 산화안정성을 나타내는 제품을 설계 할 수 있었다. 5) 여러 가지 윤활 기유 및 첨가제를 투여한 윤활 기유에 대하여 마찰 마모 특성을 평가한 결과 윤활 기유의 조성에 따라 서로 다른 마찰 마모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각각의 기유간의 마찰 마모 특성 차이는 저온 조건에서 더 적게 나타났다. 특히 API 그룹 III 기유는 그룹 IV 기유와 비슷한 마찰 마모 거동을 나타내었다. 6) 수첨 분해 기유를 활용한 덤벨 블렌딩을 통하여 저온 점도 특성이 개선된 자동변속기유를 설계 하고 성능을 검증하여 덤벨 블렌딩 방법이 자동 변속기유 설계에 매우 적합한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7) 덤벨 블렌딩시 저점도 기유를 저유동점화 하는 것이 저온 점도 특성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Advisors
김경웅researcherKim, Kyung-Woo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6
Identifier
254205/325007  / 020025805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2006.2, [ x, 152 p. ]

Keywords

덤벨 블렌딩; 자동변속기유; Base Oil; Dumbbell Blending; 윤활기유; Automatic Transmission Fluid

URI
http://hdl.handle.net/10203/43602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5420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