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적인 과학기술과 상징폭력:전문가와 대중의 관계론적 구성Democratic Science and Symbolic Violence: A Relational Approach to Experts and the Public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3
  • Download : 0
전문가와 대중은 어떻게 구별되는가? 과학기술사회학자들은 전문가 집단의 연결망 혹은 구획화 전략을 지적하며 전문가와 대중 사이의 민주적인 관계를 건설하기 위한 실천적인 방안들을제시하고 실험해 왔다. 그러나 과학기술정책 입안 과정에서의 대중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다양한 시도들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대안적 모델들이 실제로 과학기술을 매개로 하는 사회적불평등을 해소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 또한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문가와 대중 사이의 경계가 형성되는 기작을 상징폭력의 관점으로 재조명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2017년 한 해 동안 미국의 한 환경과학기술 연구센터가진행한 대중 행사들에서 에스노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후속 인터뷰 또한 진행했다. 전문가와대중은 과학적 논쟁의 과정에서 서로의 아비투스를 발견해 내고, 이를 바탕으로 서로를 구획한다. 이러한 관계론적 구획작업은 더 나아가 상징폭력의 기반이 되어, 대중 스스로 자신의‘대중됨’을 정의하게 하는 데에 이른다. 이를 통해 대중은 과학적 논쟁에 참여하지 않는 ‘이성적인 시민’의 모습을 내재화하고, 이것은 즉 대중이란 과학기술의 논쟁 앞에서 어떠한 모습이어야하는지에 대한 규범적이면서도 집단적인 이데올로기가 된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대중을 구별해냄과 동시에, 상징폭력의 대상으로 구조화한다. 스스로의 발언권을 포기하는 시민사회의 좌절은 심리학적이고 파편적인 개별현상이 아니라, 사회학적인 설명을 요구하는 사회현상이 된다. 이 연구는 대중의 자발적인 침묵 (voluntary silence) 이 어떻게 유도되는지 설명함으로써대중의 과학참여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Publisher
한국과학기술학회
Issue Date
2021-03
Language
Korean
Citation

과학기술학연구, v.21, no.1, pp.1 - 32

ISSN
1738-9291
DOI
10.22989/jsts.2021.21.1.001
URI
http://hdl.handle.net/10203/318559
Appears in Collection
HSS-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