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CH 모형을 활용한 국채 선물 조건부 변동성이 한국 실질 국내 총생산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conditional volatility in Korea treasury bond futures using GARCH Model on Korea's real GDP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37
  • Download : 0
이차 모멘트인 변동성은 최근 많은 금융시장을 예측하려는 요인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주식시장 및 원자재 시장에서의 변동성은 해당 시장의 수익률을 예측하는데 있어 효과가 있음이 입증된 바 있다. 그러나 채권 시장에서는 아직 그 연구가 활발하지 못하다. 또한 자본시장에서의 변동성을 이용해 실물경제를 예측하려는 시도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활발히 거래되는 한국 국채 3년,5년,10년물의 역사적 변동성을 산출한 후, 이를 GARCH(1,1) 모형을 활용해 조건부 변동성으로 변환하고,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미래의 GDP 성장률 및 변동성을 예측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강건성 검정을 위해 각 회귀계수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진행하였다. 또한 이 조건부 변동성들이 GDP 성장률 및 변동성에 시간적 선행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그레인저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GDP 성장률을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10년 국채 선물 조건부 변동성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GDP 변동성을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5년 국채 선물 조건부 변동성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며, 10년 국채 선물 조건부 변동성의 경우 가장 유의미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그레인저 인과 관계 분석 결과 다른 GDP 변수들과 조건부 변동성들의 관계는 상호적으로 그레인저 인과가 존재하였으나, GDP 변동성과 국채 선물 10년 조건부 변동성 간에는 성립하지 않았다.
Advisors
최현수researcherChoi, Hyun Soo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금융공학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2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프로그램, 2022.2,[ii, 46 p. :]

URI
http://hdl.handle.net/10203/307656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97826&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