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시·군·구 '수도권-지방' 인구이동 네트워크 분석Analysis of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 population movement networks in small districts(si·gun·gu) in Korea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09
  • Download : 0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수도권 인구집중 현상이 심한 국가다. 2020년에는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넘어서며 지방소멸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수록 심화하는 수도권 인구집중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 10년(2010~2019년) 동안 대한민국 인구이동의 흐름을 분석했다. 전국을 229개 시·군·구 단위로 세분화한 인구이동 데이터와 삶의 질을 나타내는 12가지 지표를 비교 분석해, 인구이동의 결정요인과 인구이동에 따른 결과를 살폈다. 분석 결과 경제적 요인 중 하나인 전출지와 전입지의 재정자립도 격차가 클수록 재정자립도가 높은 지역으로 더 많은 인구가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할 경우, 건강 요인 중 하나인 삶의질5차원 지표가 더 높은 곳으로 인구가 몰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는 전국을 229개 시·군·구 단위로 세분화해 최신 인구이동 경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는 앞으로 수도권 인구집중 완화 해법을 모색하고, 나아가 실질적인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세우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dvisors
양재석researcherYang, Jae-Su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2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2022.2,[iii, 39 p. :]

URI
http://hdl.handle.net/10203/307586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9760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SJ-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