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기자들의 스타트업 이직 사례연구(A) case study on junior journalists' turnover to startup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24
  • Download : 0
기자의 이직을 다룬 기존 연구들은 이직 원인에 집중하는데 그쳤다. 위계를 중시하는 언론사의 조직 문화,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심리적 물리적 탈진, 노동 시간에 비해 적은 보수, 언론에 대한 독자와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 확대 등을 이직 이유로 제시했다. 이 논문은 스타트업으로 이직한 10년차 전후 젊은 기자들에게 주목했다. 최근 2~3년간 관찰된 이직 트렌드다. 연구 결과 이들에게서는 기존의 이직자와 다른 점들이 관찰됐다. 이들은 기자 일이 적성에 잘 맞다고 생각하고 노동 조건에도 큰 불만이 없었다. 하지만 수직적인 의사 결정 구조, 성장이 멈춘 언론사에서 답답함을 느껴 이직을 결심했다. 수평적인 의사 결정 구조, 주도권을 갖고 일할 수 있는 조직,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찾았고 그 결과 스타트업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이직했다. 연구는 이들을 능동적 이직자라고 명명했다. 이들을 통해 기자 이후 커리어가 더 다양해질 수 있다는 점을 짚어보고, 언론사가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짚어봤다.
Advisors
김영욱Kim, Young-Uk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3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2023.2,[iii, 56 p. :]

Keywords

기자이직▼a이직의도▼a커리어▼a스타트업▼a자발적 이직; Journalist turnover▼aTurnover intention▼aCareer▼aStartup▼aYoung journalist

URI
http://hdl.handle.net/10203/307582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103223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SJ-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