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안보 미래전략Future strategy of environmental security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37
  • Download : 0
냉전 종식 이후 세계는 변화하였고, 과거 국방 중심의 전통적 안보에서 벗어나 새로운 위험에 주목한 신흥안보 패러다임이 등장하였다. 신흥안보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위험 중에서도 주목해야 할 것은 환경안보에 대한 위협이다. 전 세계적으로 진행된 산업화와 개발로 환경은 급속도로 파괴되었고, 지구 곳곳에 이상기후가 나타나고 있다. 기후는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만큼, 기후변화가 야기할 리스크 요인들은 우리나라 환경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안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스탭퍼 분석을 통해 미래 환경안보 위협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4가지 대안미래 분석을 통해 전략 옵션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후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핵심 안보 위협요인으로는 해양 및 육상 생태계 변화가 도출되었으며, 생물다양성이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통제 미래를 선호 미래로 보았다, 이러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범정부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 전담 조직 확보 및 생태계에 보호에 대한 실질적 예산 투자 확대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 환경안보 리스크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과 기후변화 대응력 제고를 기대해 본다.
Advisors
서용석researcherSeo, Yongseo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1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2021.2,[iii, 46 p. :]

Keywords

신흥안보▼a환경안보▼a기후변화▼a생물다양성▼a미래전략; Emerging security▼aEnvironmental security▼aClimate change▼aBiodiversity▼aFuture strategy

URI
http://hdl.handle.net/10203/295227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48368&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F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