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유망기술의 개념과 종단적 평가체계 연구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38
  • Download : 0
거시적 사회 변화 동인으로서 미래기술의 중요성이 점증하면서 최근 유망기술에 관한 이론적·정책적 논의가 점증하고 있다. 특히 초지능·초연결·초융합의 4차 산업혁명 관련 담론의 부상 속에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전략적 미래 유망기술 발굴 노력이 급증하는 추세다. 2000년대 이후 최초로 유망기술을 발표하고 있는 MIT 테크놀로지 리뷰를 비롯해 국내외 여러 기관에서 주기적인 미래 유망기술 발표가 이어지고 있으나 이들 기술의 실제 실현 여부 등에 대한 사후적(ex-post) 평가는 상대적으로 빈곤한 편이다. 무엇보다 유망기술의 실현 여부는 과학적 혹은 기술적 가능성이라는 내재적 요소만이 아니라 기술을 둘러싼 다양한 제도적·환경적 변화 및 제약에 달려있기 때문에 후자와 같은 외재적 동인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판단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최근에 발표된 유망기술의 후행적 평가 연구들은 사업화나 상품화를 기준으로 하여 기술 자체 실현 여부에 집중함으로써 기술이 실현되지 못한 이유가 기술의 한계인지 외재적 환경의 제약인지 밝혀내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유망기술 발표 기관 및 학술 연구 상 미래 유망기술에 대한 정의 또는 개념을 비교·고찰하고, 미래 유망기술의 종단적(longitudinal) 평가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론적 문제를 살펴보고, 유망기술의 시간적 진화에 있어 내재적·외재적 변화를 함께 고려한 평가 인자를 도출한다. 이에 바탕해 분석적 계층화법 등 정량적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평가체계를 구성한다.
Publisher
기술경영경제학회
Issue Date
2018-07-06
Language
Korean
Citation

2018년 기술경영경제학회 하계 학술대회, pp.1 - 20

URI
http://hdl.handle.net/10203/249906
Appears in Collection
STP-Conference Papers(학술회의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