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더레이션 연동을 위한 객체 모델 통합 프로세스Integration Process of Federation Object Model for Interoperation of Federation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02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세중ko
dc.contributor.author유민욱ko
dc.contributor.author김탁곤ko
dc.date.accessioned2018-04-24T04:28:06Z-
dc.date.available2018-04-24T04:28:06Z-
dc.date.created2018-04-03-
dc.date.created2018-04-03-
dc.date.created2018-04-03-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citation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26, no.2, pp.1 - 8-
dc.identifier.issn1225-5904-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41255-
dc.description.abstractHigh Level Architecture (HLA)는 완성된 시뮬레이터를 연동함으로써 재사용성을 높이고 분산된 이기종 시뮬레이터 간의 연동성을 확보하고자 제정된 연동 표준으로, Runtime Infrastructure (RTI)로 구현되어 다양한 시뮬레이터간의 연동 시뮬레이션을 중개한다. 이러한 연동 시뮬레이션 관련 연구는 연동 대상이 되는 시스템이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시뮬레이터 간의 연동을 넘어 연동된 페더레이션 간의 연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객체 모델 통합에 대한 고민이 없었기 때문에 객체 모델이 동일한 표준 형식을 따르며 차이점이 존재하지 않아 쉽게 통합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진행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HLA 표준에 기초한 페더레이션들이 이미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객체 모델의 형식에 차이점이 있어 기계적인 객체 모델 통합이 불가능하고, 실제로는 같은 객체/속성에 대해 다르게 기술되어 있을 가능성이 많다. 또한 모든 객체를 통합하여 공개했을 때에는 보안성의 문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페더레이션 연동을 위한 객체 모델 통합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객체 모델 통합 프로세스는 서로 다른 표준을 따르는 객체 모델 간의 통합 방법을 제안하고, 객체간의 서로 다른 이름/특성 문제를 해결하며, 보안객체를 제외하는 기능을 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페더레이션 연동 기술이 실제적으로 적용될 때에 각 페더레이션의 연동성과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시뮬레이션학회-
dc.title페더레이션 연동을 위한 객체 모델 통합 프로세스-
dc.title.alternativeIntegration Process of Federation Object Model for Interoperation of Federations-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26-
dc.citation.issue2-
dc.citation.beginningpage1-
dc.citation.endingpage8-
dc.citation.publicationname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dc.identifier.doi10.9709/JKSS.2017.26.2.001-
dc.identifier.kciidART002234319-
dc.contributor.localauthor김탁곤-
dc.description.isOpenAccessN-
Appears in Collection
E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