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frequency noise (LFN) and reliability in nanowire FETs and junctionless-accumulation-mode (JAM) FinFETs나노와이어 소자와 무접합 축적 방식 핀펫 소자에 관한 저주파 노이즈 및 신뢰성 연구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69
  • Download : 0
본 논문은 나노선 소자와 무접합 축적 방식의 핀펫 소자의 아날로그 적용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저주파 노이즈 및 신뢰성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최근 핀구조와 나노선 구조는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나노선 소자와 핀펫 소자의 저주파 노이즈 및 신뢰성에 관한 심도있는 연구에는 많은 공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향식 공정 및 하향식 공정의 두가지 방식으로 소자를 제작하였다. 비화인듐 나노선 소자의 계면 기술을 통하여 노이즈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연구와 게르마늄 나노와이어 소자의 금속 접촉 기술을 통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연구의 공정은 상향식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하향식 방식으로 제작된 고유전율 물질 게이트 절연체와 금속 게이트 적층으로 이루어진 무접합 축적 방식의 핀펫 소자의 저주파 노이즈 특성 및 신뢰성에 관한 연구는 저주파 노이즈의 메커니즘과 열전하에 의한 열화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집중되었고 공정은 하향식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열전자에 의한 열화 메커니즘을 밝히고 가속 실험을 통하여 소자의 기대수명을 추출하였다. 비화인듐 나노선 소자의 직류 특성과 저주파 노이즈 특성은 TMA 처리에 의하여 동시에 향상되었다. 비화인듐 나노선 소자의 원래부터 존재하는 절연체는 TMA 처리과정에서 자체적 정화 메커니즘에 의하여 제거되었고, 그 결과 절연체의 내부뿐 만 아니라 절연체와 반도체 사이의 계면 특성도 향상되었다. TMA 처리에 의하여 보통의 상태에서 소자는 꺼져 있는 증가형 소자 특성을 나타내었고, 문턱 전압 이하에서의 기울기는 향상되었다. 정규화된 드레인 전류 노이즈 전력 스펙트럼의 밀도는 모든 드레인 전류 영역에서 향상되었다. 게다가 저주파 노이즈의 메커니즘의 기원은 전하 개수 변동에서 절연체 안에 트랩된 전하에 의한 쿨롱 산란 결과에 의한 모빌리티 변동을 동반한 전하 개수 변동으로 변화 하였다. 게르마늄 나노선 소자의 금속 접촉 부분에 아르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된 낮은 소스/드레인 접촉 저항에 의하여 소자 특성이 향상되었다. 계면 절연체의 상태 변성이 소스/드레인 접촉 저항에 영향을 주었다. 아르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하여 게르마늄 나노선에 존재하는 이산화 게르마늄 절연체는 효과적으로 제거되었고, 이산화물 게르마늄 이하 상태의 절연체에 산소 결핍 현상이 두드러졌고 이런 표면 상태가 낮은 온도에서 저마나이드 접촉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급속 열처리 과정 후에 아르곤 플라즈마 처리된 게르마늄 나노선 위에 니켈 저마나이드 접촉이 형성되었다. 니켈 저마나이드 접촉 저항은 원래 소자의 열배 이상 감소하였다. 게다가 가장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는와 온전류 오프전류비는 극적으로 향상되었다. 아르곤 플라즈마 처리는 낮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동안 니켈 저마나이드 접촉을 균일하게 형성하는데 꼭 필요하다. 이는 게르마늄 나노선 소자의 특성을 잃지 않고 대량 생산을 늘리고 열적 비용을 낮추는데 중요하다. 저주파 노이즈와 열전하 열화 메커니즘의 기원에 대하여 자세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리콘 게르마늄 정공 채널 형태의 무접합 축적 방식 벌크 핀펫소자의 정규화된 드레인 전류 노이즈 전력 스펙트럼의 밀도와 기판 전압에 의한 그것의 열화는 실리콘 정공 채널 형태의 소자보다 낮았다. 고유전율 절연체에서의 트랩된 전하에 의한 쿨롱 산란은 실리콘 게르마늄 채널 소자의 높은 전류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열정공 주입은 실리콘 게르마늄과 실리콘 소자에서의 지배적인 메커니즘이다. 채널 열전하 스트레스에서 실리콘 게르마늄 소자와 실리콘 소자의 기대 수명을 추출하였다. 본 소자는 기판 전압과 열전하 스트레스에 강하므로 아날로그 적용을 위하여 유망한 소자 중에 하나이다. 결론적으로 비화인듐 나노선, 게르마늄 나노선 기반의 소자와 무접합 축적 방식 핀펫을 성공적으로 제작하였다. 계면 기술은 우수한 노이즈 특성을 위하여 꼭 필요하고 벌크 전도 방식은 낮은 노이즈 특성을 가지는 아날로그 적용에 적합하다.
Advisors
Yoo, Seunghyupresearcher유승협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eng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부, 2015.8 ,[vi, 106 p. :]

Keywords

InAs nanowire FETs; Ge nanowire FETs; junctionless-accumulation-mode (JAM) FinFETs; low frequency noise (LFN) mechanism; hot-carrier degradation mechanism; 비화인듐 나노선 소자; 게르마늄 나노선 소자; 무접합 축적 방식 핀펫; 저주파 노이즈; 열전하 열화 메커니즘

URI
http://hdl.handle.net/10203/206876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2851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