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리스크와 거시경제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An empirical study of surety bond risk relating to macro economic factor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74
  • Download : 0
본 연구에서는 보증리스크와 거시경제변수에 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보증리스크를 설명할 수 있는 유의한 설명변수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고 이를 위해 다중회귀분석, 벡터자기회귀(VAR)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보증리스크를 분석하기 위한 변수로 부도율이 아닌 보증대급금을 사용하여 보증리스크를 직접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그 결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보증대급금과 거시경제변수와의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회사채 스프레드 증감률, 총통화량 증감률, 미분양주택 증감률 등이 보증리스크를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거시경제변수의 실제부호는 기대부호와 대부분 일치하였다. 또한 Granger 인과관계 검정을 통해서 분류별 보증대급금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금융성보증과 이행성 보증, 투자적격 보증과 투자부적격 보증, 10억 이하 보증과 10억 초과 보증이 상호간에 인과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증리스크는 전이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시경제변수를 외생변수로 하여 벡터자기회귀(VAR)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금융성 보증, 투자적격 보증, 10억 초과 보증의 거시경제변수에 대한 충격이 더 크게 나타나 경기민감도가 더 높은 보증임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경기민감도가 높은 보증에 대한 리스크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였다. 따라서 경기민감성 보증에 대한 사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신용평가모형의 변별력을 높이고 적정한 등급 계량화가 필요하며 고액보증의 관리를 위해서 적정한 보증금액별 할인제도에 대한 검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금융위기 시점을 기준으로 계수의 변화가 있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how test를 실시한 결과에서는 계수의 구조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벡터자기회귀(VAR)모형의 충격반응함수 분석 결과 금융위기 시점 이후에 보증대급금의 거시경제변수 충격에 대한 반응이 이전 기간보다 더 크고 오래 지속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dvisors
조훈researcherCho, Ho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금융공학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프로그램, 2015.2 ,[v, 43p :]

Keywords

건설보증리스크; 거시경제변수;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벡터자기회귀모형; 충격반응함수; Construction Surety Bond risk; Macro economic variables; Granger-causality test; VAR model; Impulse response function

URI
http://hdl.handle.net/10203/20258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0820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