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거리가 소비자의 온라인 구전정보 수용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consumer response to eWOM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242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원준-
dc.contributor.advisorKim, Won-Joon-
dc.contributor.advisor유승호-
dc.contributor.advisorRyu, Seoung-Ho-
dc.contributor.author이윤진-
dc.contributor.authorLee, Yun-Jin-
dc.date.accessioned2013-09-12T02:05:15Z-
dc.date.available2013-09-12T02:05:1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14934&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181099-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3.2, [ iii, 52 p. ]-
dc.description.abstract의사결정과정에서 개인의 선호에 대한 시간의 효과는 사회과학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내일 당장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려 정보를 탐색 할 때와, 먼 미래에 필요한 상품에 대해 정보를 탐색할 때 시간의 효과에 따라 개인의 의사 결정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해석수준이론(construal level theory)은 시간적 거리에 따른 의사결정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매와의 시간적 거리에 따라 소비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해석수준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구전(eWOM; electronic word of mouth)의 심리학적 측면들이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하였다. 해석수준이론을 통해 구매와의 시간적 거리와 구전정보원과의 사회적 거리가 매칭 될 때 구전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북 친구를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구전 정보원으로, 블로그를 사회적 거리가 먼 정보원으로 구별하고, 구매와의 시간적 거리와 구전 정보원과의 사회적 거리가 소비자의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온라인 구전-
dc.subject심리적 거리-
dc.subjecteWOM-
dc.subjectConstrual level theory-
dc.subjectPsychological distance-
dc.subject해석수준이론-
dc.title심리적 거리가 소비자의 온라인 구전정보 수용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consumer response to eWOM-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514934/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
dc.identifier.uid020113452-
dc.contributor.localauthor김원준-
dc.contributor.localauthorKim, Won-Joon-
dc.contributor.localauthor유승호-
dc.contributor.localauthorRyu, Seoung-Ho-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